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

GTX 시대 개막, 서울 외곽의 가치가 달라진다 🚄 GTX 시대 개막, 서울 외곽의 가치가 달라진다“이제 서울 도심까지 30분이면 충분한 시대, 도시는 어디로 갈까?” 1️⃣ 빠르게 연결되는 도시, GTX란 무엇인가?서울의 교통 체계가 지금 근본적인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GTX(Great Train eXpress,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입니다. GTX는 기존 지하철보다 2~3배 빠른 속도(평균 시속 100km 이상)로 운행되며,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외곽 도시들을 ‘실질적인 생활권’으로 바꾸어 놓고 있습니다. 🚉 주요 노선별 정리GTX-A: 파주 운정 ↔ 일산 킨텍스 ↔ 서울역 ↔ 삼성 ↔ 수서 ↔ 동탄GTX-B: 인천 송도 ↔ 여의도 ↔ 용산 ↔ 청량리 ↔ 남양주 마석GTX-C: 수원 ↔ 안양 ↔ 삼성 ↔ 의정부 ↔.. 2025. 8. 9.
“용산 IBD와 부동산 시장, 그리고 녹색 미래: 서울의 중심이 바뀌고 있다” 1️⃣ 용산 IBD – 부동산 시장을 어떻게 흔들고 있을까?📍 한강과 남산 사이, ‘서울의 마지막 중심 땅’용산역 남단에 위치한 용산 정비창 부지는 무려 49만㎡에 달하는 서울 도심 내 유일한 대규모 가용지입니다.이 부지는 과거 철도 차량 정비 기지였으며, 100년 넘게 일반 시민의 접근이 차단된 공간이었죠.오랜 시간 동안 방치되었지만, 이 부지가 국제업무지구(IBD)로 탈바꿈된다는 계획이 발표되면서,부동산 시장의 관심은 순식간에 이곳으로 쏠렸습니다. 💰 상업용 부동산, 토지부터 먼저 꿈틀거리다2023년부터 토지·상가 시장에서는 눈에 띄는 변화가 시작됐습니다.용산동3가 상가는 3.3㎡당 1억 원을 돌파했으며, 한강로·이촌로 인근 상업지대도 급등세를 보였습니다.이는 단기 시세 차익을 노린 투기라기보다,.. 2025. 8. 8.
용산국제업무지구: 서울 도심이 품은 마지막 꿈, 다시 펼쳐지다 “100층 타워에서, 도시 숲과 한강을 내려다보는 그 날이 올까?” 1️⃣ 서울 중심에 남겨진 마지막 퍼즐, ‘용산’서울 한복판, 지하철 1호선 열차를 타고 지나가다 보면 유난히 텅 비어 보이는 넓은 공터를 발견하게 됩니다.남영역과 용산역 사이, 철길이 엉켜 있는 이 지역은 원래 코레일 철도정비창이 있던 곳이죠.지금은 철거되고 나서도 오랫동안 아무것도 지어지지 않았습니다.이 땅을 처음 본 사람들은 보통 이렇게 생각합니다.“이런 땅이 서울 한가운데 있다니, 왜 아무것도 안 지은 거지?”그러나 그 속에는 오래된 이야기와 멈춘 시간들이 숨어 있습니다. 🕰️ 멈춘 시간: ‘용산 드림허브’의 붕괴2000년대 중반, 서울시는 이 땅을 '용산 드림허브(Dreamhub)'라는 이름으로 개발하려 했습니다.국내 굴지의 .. 2025. 8. 8.
신속통합기획, 도심 정비의 새 판을 짜다 서울시의 주요 도시 정비 정책 중 하나인 신속통합기획은 최근 재개발・재건축 관련해서 매우 주목받는 제도입니다.신속통합기획은 복잡한 절차는 줄이고, 공공성과 사업성은 함께 높이는 새로운 방식입니다. 1️⃣ 왜 신속통합기획이 나왔을까? '느림'과 '혼란'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서울에서 재개발이나 재건축을 추진하려면 보통 10년 이상 걸리는 장기전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기존 정비사업의 절차는 굉장히 복잡하고 지지부진했습니다. 기초 계획 수립부터 주민 동의 확보여러 차례의 심의 및 평가도시계획위원회 협의민원 조정 및 설계 변경 등... 이 모든 과정을 주민 주도로 처리해야 하고, 행정기관은 각종 심의를 '심사만' 하던 구조라 속도는 느리고 갈등은 깊어졌죠.서울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공이 직접 기획과 .. 2025. 8. 8.
서울형 소규모 정비사업의 미래, 모아타운(재개발과 무엇이 달라졌을까?) 서울시 도시계획에 대해 계속 포스팅 할건데요,주택 공급이 화두가 된 지금, ‘모아타운’은 재개발·재건축에 이은 새로운 도시정비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어요.재개발과 무엇이 다른지 알아볼게요 서울형 소규모 정비사업의 미래, 모아타운! 1. “모아타운 vs 재개발”서울 주거지 정비,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나?서울에 살다 보면 철거 직전의 빈집들, 공사장으로 뒤덮인 블록, 재개발 현장을 둘러싼 플래카드, 그리고 멀지 않은 곳에서 여전히 살아가는 이웃들. 그런데 문득 궁금해집니다.“이 동네는 재개발이라는데, 옆 동네는 모아타운이라고 해요. 뭐가 다른 거죠?”이 글은 그 질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둘 다 도시를 새로 짓는 방식이지만, 방식도 목적도 조금씩 다르거든요. 재개발이란?재개발은 노후화된 주거지를 철거하고.. 2025. 8. 7.
서울시 도시계획 : 서울플랜2040 - 서울의 미래는 어디로 가고 있나? 오늘은 서울시 도시계획을 주제로 포스팅 해보려고 해요!"서울시 도시계획"은 도시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그리는 분야로, 부동산·교통·환경·경제까지 복합적인 관점이 필요해요조금 낯설 수 있지만, 도시 변화의 흐름을 알고 싶거나 투자, 정책, 삶의 질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분야입니다.서울시 도시계획이란?서울시가 도시의 공간 구조, 인구 밀도, 교통, 주거, 산업, 환경, 문화 등을 체계적으로 계획·관리하는 과정이에요.대표적인 유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도시기본계획 (서울플랜2040 등) 서울의 중·장기 마스터플랜 (20년 단위)“서울은 어떤 도시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최신: 서울플랜2040 → "15분 도시", "균형발전", "녹지 보존" 등이 핵심 키워드 🧭 도시관리계.. 2025.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