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용적률·건폐율이 만드는 ‘초고층 재개발 시대’

행이이 2025. 8. 10. 22:00

1. 규제 해제로 인한 용적률 인센티브 구조 변화

서울의 도시계획은 오랫동안 ‘압축 성장’을 지양하며, 저층·중층 중심의 균형 개발을 지향해왔습니다.

하지만 35층 층수 제한 폐지와 함께, 용적률(Floor Area Ratio) 규제 역시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습니다.

 

용적률이란 대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의 비율로, 초고층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높은 용적률이 필수적입니다.

기존 재개발·재건축 사업에서는 용적률 상한이 250~300% 내외였지만, 이번 규제 완화로 핵심 입지에서는 500% 이상까지도 가능해졌습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수치 상승을 넘어 사업성 계산 구조를 뒤바꿉니다.

예를 들어, 재개발 사업에서 일반분양 비율이 높아질수록 조합원의 분담금은 줄어듭니다.

용적률 인센티브가 커지면,

  • 조합원 분담금 경감
  • 사업 추진 속도 가속화
  • 민간 건설사 참여 경쟁 심화로 이어집니다.

 

 

2. 강남·여의도·용산 등 핵심 재개발 지역의 변신 시나리오


<강남>

35층 제한 해제와 용적률 완화는 강남권 재건축의 초고층화 경쟁을 촉발합니다.
잠실주공5단지, 은마아파트 등 대규모 단지는 50~70층급 복합단지로 변신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단순 주거 공간 확대를 넘어, 상업·문화시설을 포함한 도심 속 신(新)중심지를 탄생시킬 수 있습니다.

 

<여의도>

여의도는 금융 중심지라는 입지적 특성에 더해, 초고층 주거·업무 복합빌딩이 들어서면 ‘서울의 맨해튼’에 한층 가까워집니다.

특히 여의도 재개발 구역과 IFC, 파크원 일대가 업무+주거+여가가 결합된 초고밀 복합지구로 재편됩니다.

 

<용산>

용산국제업무지구와 한강변 초고층 타워가 결합하면 서울의 두바이 버전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용산공원과의 시너지로, ‘공원 옆 초고층 주거’라는 프리미엄이 부각될 것입니다.

 

3. 초고층 건물의 장점과 단점

<장점>

  • 조망권 – 한강·남산·도심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프리미엄 뷰.
  • 공간 활용도 – 동일 대지에서 더 많은 세대와 시설 수용 가능.
  • 랜드마크 가치 – 지역 인지도 상승, 부동산 프리미엄 형성.
  • 복합 기능 – 주거, 상업, 문화, 업무 기능의 결합.

<단점>

  • 조도 문제 – 저층부 일조권 침해로 인한 주민 갈등.
  • 통풍 저해 – 고층 밀집 시 ‘바람길’이 차단돼 열섬 현상 악화.
  • 밀집도 상승 – 교통 혼잡, 기반시설 부담 증가.
  • 안전 리스크 – 화재·지진 등 재난 시 대피 곤란.

 

 

4. 외국 사례 비교 : 홍콩·싱가포르와 서울의 차이


<홍콩>

  • 평균 용적률 800% 이상.
  • 초고밀 주거가 기본이며, 상업·업무·주거가 한 건물에 결합.
  • 제한된 토지와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초고층화는 필연.
  • 단점: 심각한 그늘진 거리, 공원 부족, 고가 주거난.

<싱가포르>

  • 계획적으로 초고층 주거를 설계.
  • 정부가 직접 HDB(공공주택)부터 프리미엄 콘도까지 균형 배치.
  • 녹지 확보율을 높여, 초고층이면서도 쾌적성을 유지.
  • 단점: 민간주택 가격 급등, 주거 양극화 심화.

<서울>

  • 홍콩보다 토지 여유가 있지만, 강남·여의도·용산 등 일부 지역은 초고밀화 진행 중.
  • 싱가포르처럼 계획적 녹지 설계 필요.
  • 규제 완화 이후 ‘자율 초고층화’가 아닌 ‘전략적 초고층화’가 관건.

외국사례 비교
홍콩 싱가포르 서울 도시계획 비교

 

5. 결론 – ‘초고층 시대’의 전략


35층 규제 폐지와 용적률 완화는 서울에 새로운 스카이라인을 열어줄 기회입니다.
하지만 이는 부동산 가격 상승, 교통 혼잡, 환경 악화라는 양날의 검이기도 합니다.


서울시는 초고층 허용+인프라 보완을 병행하는 전략을 세워야 하며,
외국 사례에서 보듯, 녹지·공공성 확보가 지속가능한 발전의 핵심입니다.